본문 바로가기
독서 레시피/외국문학

<우리 시대의 아이> 줄거리와 해설

by 늘해나 2021. 4. 18.
728x90
반응형

전체주의가 만들어낸 비극 <우리 시대의 아이>

 

<우리 시대의 아이>  외된 폰 호르바트 지음, 문예출판사 펴냄

 

[줄거리]

 

주인공 ‘나’는 학교 졸업 후 인쇄공이 되려 했지만 넘쳐나는 노동력으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다. 어느 곳에서도 일자리를 구할 수 없어 국가와 민간의 자선단체에서 주는 수프로 끼니를 해결하거나 훔치는 등 절망적인 생활을 6년간 이어갔다.

 

‘나’는 징병검사를 받고 군인이 되면서 암울한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 군대는 실업자였던 ‘나’에게 군인이라는 사회적 지위를 주고, 안정된 생활을 하게 해준 구원자였다. ‘나’는 군대의 규율을 사랑했고 군대가 수호하는 조국을 사랑했다. 그리고 대위는 ‘나’에게 이상적인 지도자의 모습이었다 .‘나’는 인간의 삶에서 최고의 것은 조국이며, 조국 이외의 것은 다 무의미하거나 부수적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어느 날 ‘나’는 일요일 자유시간에 놀이공원인 '마법의 성' 매표소에 앉아있는 젊은 여자에게 마음을 빼앗긴다. 말 한마디 걸지 못했지만 다음 일요일에 다시 찾아가리라 다짐한다. 하지만 ‘나’는 작은 나라를 기습 공격하는 계획에 투입된다. 그럼에도 ‘나’는 조국의 부름에 자신의 사생활이 배려 받지 못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진군 5주째 되던 날, 폐허가 된 마을에서 접전 중 적의 진지에서 서성이는 여자를 우리 쪽 누군가가 쏘았다. 여자가 비명을 지르며 쓰러졌는데, 대위가 그녀에게 천천히 다가가다가 적의 총에 맞아 죽는다. ‘나’는 대위를 구하려고 나섰다가 팔에 총상을 입는다. 이때 ‘나’는 대위의 손에 쥐어진 ‘나의 아내에게’라고 씌어있는 편지를 어딘가에 집어넣고 정신을 잃는다.

 

전쟁터에 내몰린 청년들(사진 : 픽사베이)

 

팔에 총상을 입은 ‘나’는 본국으로 이송되었고 진급까지 하게 된다. ‘나’는 대위의 아내에게 편지를 전해주러 찾아갔다. 그런데 뜻밖에도 대위의 편지는 조국에 대한 비판과 병사들을 범죄자로 취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나’는 정신적 아버지와 같았던 대위에게 배신감을 느끼고, 대위의 미망인과 하룻밤을 보내면서 팔베개를 해준 탓에 팔이 회복불능상태가 된다.

 

군대로 다시 돌아갈 수 없게 된 ‘나’는 다시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이고 아버지를 찾아간다. 제1차 세계대전 참전자로 반전주의자였던 아버지는 이전과 다르게 전쟁을 옹호하는 말을 하여 나를 당황하게 한다. 아버지와 함께 생활하게 된 ‘나’는 그동안 신봉해온 조국과 지도자에 대해 회의를 느끼기 시작한다. 그리고 대위가 조국을 혐오했던 것이 옳은 것은 아닌지 반문하게 된다.

 

 ‘나’는 문득 '마법의 성' 매표소 아가씨가 생각나 찾아가지만 ‘마법의 성’은 없어졌고 사무실에서 난장이예술단의 단장과 회계사를 만난다. 그리고 그녀가 임신해 해고했다는 사실과 그녀의 이름이 '안나'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의 집을 찾아간 ‘나’는 그녀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불법 낙태하려 했으나 일이 들통나 현재 감옥에 있다는 사연을 듣는다.

 

‘나’는 그녀를 해고한 회사에 해명을 요구하기 위해 다시 사무실로 찾아가다 맥주집에서 회계사를 발견한다. 회계사는 안나의 해고는 정당했고, 이윤을 위해서는 개개인에 신경 쓸 수 없다고 말했다. ‘나’는 “개개인에 속하는 당신도 언젠가 희생양이 될 수 있음을 모르냐”며 분노하며 회계사를 죽인다. 그리고 눈이 내리는 공원으로 간 ‘나’는 동사하여 죽는다.

 

나치 집회의 히틀러(사진: 지식백과)

 

[작품 해설]

 

"나는 군인이다. 그리고 나는 군인인 게 좋다"로 고백을 시작하는 주인공 청년은 실업자 신세를 면하게 해준 조국과 지도자에 충성을 맹세한다. 그는 조국의 방향과 목적이 곧 그의 방향이며 목적이 되었다.

 

그러나 대위의 죽음과 편지, 매표소 여직원 안나의 실직과 감옥에 갇힌 사연은 그의 시선을 국가에서 개인에게로 돌리게 했다. 대위는 그가 따를 수 있는 유일한 리더였고, 안나는 잠시나마 그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준 여인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 시대에 맞지 않는 개인이었다. 그 또한 “이 시대에 맞지 않는가”라고 스스로 자문한다.

 

"그렇다고 날 욕하지는 마. 나는 어쩔 도리가 없었어. 나는 바로 우리 시대의 아이였거든. 부디 이 점만은 알아주기를..."

 

결국 그는 자신이 어쩔 수 없었음을, 그리고 단지 우리 시대의 아이일 뿐이었음을 마지막 말로 남기며 죽게 된다. 전쟁둥이였던 그는 인생 전반에 걸쳐 전쟁이라는 국가적 상황에 노출되어 성장했다. 인간적 감수성과 정서 대신 증오와 폭력이 익숙한 세대였던 것이다. 그는 조국과 지도자를 맹종하는 ‘우리 시대가 만든’ 아이였다.  그는 전체주의가 양산해낸 체제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그의 죽음이 가지는 의미는 개개인의 희생을 바탕으로 지탱되는 시대에 대한 경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잘못된 세상에 던지는 저항이자 살인행위에 대한 속죄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설에서 작가는 주인공의 이름을 끝까지 밝히지 않았는데, 이는 개인의 가치가 상실된 사회에서 단지 집단의 구성으로만 살다 간 주인공의 삶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주인공 ‘나’는 전체주의 시대가 낳은 이름 없는 군인이었을 뿐이다. 또한 소설의 제목인 <우리 시대의 아이>는 이러한 전체주의 사회의 희생양이 되어 사라진 당시 인물들을 상징하고 있다.

 

 

1919년의 작가 모습(사진 : 위키백과)

 

[작가 소개]

외된 폰 호르바트(1901~1938)

헝가리에서 태어나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성장기를 보낸 호르바트는 1919년 뮌헨 대학입학 후 본격적인 글쓰기를 시작하여 희곡 『철도』의 성공으로 주목을 받았고, 『비엔나 숲 속의 이야기』로 클라이스트상을 수상하며 작가로서 절정을 맞는다.

 

그러나 고달픈 민중의 삶, 개인과 사회 간의 싸움, 파시즘의 대두 등을 작품 소재로 삼으면서 국가사회주의자들의 심기를 건드려 퇴폐 예술가로 낙인찍혔고,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작품 상연을 전면 금지당했다.

 

작품을 무대에 올릴 수 없게 된 호르바트는 산문 쪽으로 눈을 돌려 『신 없는 청춘』과 『우리 시대의 아이』를 발표하였고, 파시즘을 비판한 이 두 작품은 모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38년 파리 샹젤리제 거리를 걷던 그는 번개 맞아 떨어지는 나뭇가지에 머리를 맞고 37세라는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요절한 작가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호르바트의 작품들은 그의 사후 묻혀 있다가 1960년대 들어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세월이 흘러도 전혀 퇴색되지 않는 날카로운 사회 비판 정신과 소재의 시의성,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 덕분에 그의 작품은 커다란 붐을 일으켰고 그 후 희곡 작품들은 물론이고 소설들도 각색되어 꾸준히 무대에 오르고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