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레시피/지식교양

수레 보급 주장한 박제가 <북학의>는 어떤 책?

by 늘해나 2024. 7. 21.
728x90
반응형

 

섬네일 이미지

 
 

박제가 <북학의>는 어떤 책일까?

 

1778년(정조 2) 실학자 박제가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북학의>

 
 

◎ 청나라 문물 배워 도구․상공업 발전시키려던 '북학파'
 

조선 후기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 두 번의 전쟁을 겪고, 당쟁 등으로 백성의 삶이 곤궁해지자 수많은 민란이 발생했다.
 
박제가의 저서 <북학의(北學議)>에는 이처럼 피폐했던 조선의 현실과 백성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한 대책이 상세하게 담겨 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중에서도 도구의 활용과 상공업 발전을 주장하던 이들을 '이용후생(利用厚生) 학파'라 부른다. 이용후생이란 '도구를 편리하게 하고 재물을 풍요롭게 한다'는 뜻이다.
 
박지원, 홍대용,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등으로 구성된 이용후생 학파는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려면 당시 오랑캐라며 배척하던 청나라의 문화도 기꺼이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들을 '북학파(北學派)'라고도 부른다.
 

1790년 청나라 화가 라빙이 그린 박제가 초상
1790년 청나라 화가 라빙이 그린 박제가 초상

 
 

◎ 수레 보급, 도로 정비 강조한 <북학의>
 

박제가는 당시 지역마다 생산되는 풍부한 물자들이 서로 유통되지 못하여 백성이 골고루 쓸 수 없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청나라처럼 많은 물자를 편리하게 실어 나를 수 있는 수레를 보급하고, 수레가 다닐 수 있게 도로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골에는 붉은팥이 흔하고, 해변에는 창명젓과 메기가 흔하다. 또 영남 지방의 고찰에서는 좋은 종이를 생산하고, 청산․보은에는 대추나무가 많으며, 한강 입구에 있는 강화에는 감이 많다.

백성은 이런 물자를 서로 이용하여 풍족하게 쓰고 싶어도 힘이 미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말이 있지 않으냐?" 한다. 그러나 말 한 필과 수레 한 대가 운반하는 양이 서로 비슷해 보이지만 수레가 훨씬 유리하다.


- <북학의> 중에서


<북학의>는 수레 외에도 배, 성, 도로, 교량과 같이 생산활동을 촉진하는 사회기반시설 건설부터 과거제도, 무역, 군사, 외교 문제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사회개혁안을 담고 있다.
 
그러면서도 거름, 여자 옷, 문방구, 된장, 도장과 같이 작은 일도 백성의 삶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것이라면 가리지 않고 세심하게 기록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백성을 향한 박제가의 마음이 곳곳에서 느껴진다.
 

2권 1책으로 된 &lt;북학의&gt;

 


◎ 우리말 대신 중국어 사용 주장, 오늘날 영어 공용어화 제안과 비슷

 
'잉글리쉬 디바이드(English divide)'라는 말이 있다. 영어 실력이 출세와 소득까지 결정하는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 경제적 차이가 영어 실력의 차이를 낳고, 이것이 다시 사회․경제적 격차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진학이나 취업에서 영어 실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다 보니 생겨난 현상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영어 사교육비가 매년 수조 원에 이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나라 전체의 경쟁력을 키우고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누구나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영어를 쓰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와 비슷한 주장이 <북학의>에도 실려 있다박제가는 중국의 선진 문물을 잘 받아들이기 위해 우리말을 버리고 중국어를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중국은 말로 인해서 글자가 나왔고, 글자를 찾아서 말을 풀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록 다른 나라가 중국처럼 문학을 숭상하고 글 읽기를 좋아한다고 하더라도, 결국은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이는 언어라는 커다란 꺼풀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역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성음도 비슷하다. 따라서 백성 전체가 본국의 말을 버린다 해서 안 될 이유가 없다. 그래야만 오랑캐라는 말을 면할 것이며, 동쪽 수천리 땅에 스스로 주(周), 한(漢), 당(唐), 송(宋)의 풍속을 열게 될 것이다.


- <북학의> 중에서

 
말과 글이 서로 달라 백성이 어려움을 겪는 현실에서 세종대왕이 한자를 한글로 바꾸는 해결책을 내놓았다면박제가는 우리말을 중국어로 바꾸는 해결책을 내놓은 것이다.
 
당시 상황을 고려하면 이렇게 주장한 이유를 짐작할 수는 있지만, '이용후생'을 위해 나라말까지 버려야 한다는 박제가의 주장에 대해서는 오늘날 비판적인 의견이 대부분이다.
 
 

◎ 민생 안정을 위해 '수레' 보급하려 한 개혁파 선비

 
박제가는 누구보다 재주 많은 선비였지만, 서얼 차별이라는 불합리한 제도와 관습 때문에 설움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신분 고하를 가리지 않고 함께 공부한 '북학파' 선비들이 있어 학문에 정진할 수 있었다. 그 덕분에 훗날 정조 임금에 의해 규장각 검서관으로 발탁되었다.
 
비록 '중국어 사용'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도 담겼지만 <북학의>에는 백성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한 선비의 노력이 구구절절 묻어 있다.
 

- 조설일보 <책으로 보는 세상>에서 정리
 
 

 

<박지원의 한문소설> 양반전, 허생전, 호질 등 작품해설

조선후기 실학자이자 소설가, 연암 박지원이 당시 양반사회의 허위와 위선을 풍자하고 비판한 8편의 이야기 작품해설 한 푼도 못 되는 그놈의 양반 [ 목차 ] 1. 광문자전 _ 저 시커먼 것이 무엇이

bookhappy.tistory.com

<두껍전> 줄거리와 해설

줄거리와 해설 ❑  등장인물 • 노루 선생회갑를 맞은 오룡산의 어르신. 회갑잔치에 포악하기로 유명한 호랑이 대왕을 초대하지 않은 대범함을 보인다.  • 토끼오룡산의 꾀돌이. 호랑이 없

bookhappy.tistory.com

<나는 김시습이다> 줄거리와 해설

줄거리와 해설 줄거리 ▶ 신동 김오세 1435년(세종 17년) 한양에서 태어난 김시습은 세 살 때부터 외조부로부터 글자를 배우기 시작하여 한시를 지을 줄 알았고, 다섯 살에는 '신동 김오세'라 불릴

bookhapp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